재개발 현장 속 남아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재개발 현장 속 남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4-24 02:56

본문

재개발 현장 속 남아 있는 느티나무.[서울환경연합 정책보고서 갈무리]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새 아파트면 다 좋은 거 아니었어?”낡은 건물을 허문 재개발 현장. 곧 신축 아파트가 들어설 전망이다. 깨끗한 외관, 편리한 시설 등 장점은 끝이 없다. 하지만 부족한 게 하나 있다. 바로 초록빛 ‘숲’오랜 기간 자리를 지켜온 아파트 단지 내 녹지, 일명 ‘아파트 숲’이 재건축과 함께 설 자리를 잃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미 도시 생태계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은 나무들이 벌목된다는 것.새 아파트에도 녹지는 조성된다. 하지만 비용 효율성을 이유로 기존 나무들을 베어내고, 새로 조경하는 방식을 택하는 사례가 많다. 이 경우 수십 년간 유지돼 온 생태계 혼란은 피할 수 없다. 개포주공1단지 주변 전경.[서울데이터서비스 제공] 서울환경연합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2025 정책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는 64.6%의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 아파트 내 조성된 조경 공간은 되레 인근 지역의 ‘녹색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대표적인 도심인 서울의 경우 그 의존도가 더 높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는 최소 2.89㎢(제곱킬로미터)의 공동주택단지 녹지가 형성돼 있다. 비록 대규모 산림 등에 비해 규모는 적지만, 주거 공간과 밀접한 특성상, 도시의 주요 기반 시설 중 하나로 여겨진다. 둔촌주공아파트 주변 전경.[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제공] 실제 역할도 적지 않다. 수십 년간 유지된 도심 녹지는 도시 생물들의 서식지다. 서울연구원이 서울시 아파트 단지 30곳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아파트 단지 녹지는 총 188종(63과 143속)의 식물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식물뿐만 아니다. 도심 아파트 단지 내 수목이 사라질 경우, 해당 지역 조류의 다양성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는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 조류가 줄어드는 현상은 곧 곤충·작은 포유류 등 연관된 생태계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SNS 등 온라인 소비 트렌드가 식품 수입 동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3일 2025년 1분기 식품 수입 동향을 발표했다. 이번 분기에 국내로 수입된 식품은 20만 3000여 건(86억 6000만 달러 상당)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수입 건수는 2.9%, 금액은 3.5% 증가했다.이번 기간 우리나라가 식품을 수입한 국가는 총 150개국으로, 그 중 ▲미국(대두·밀 등) ▲중국(김치·폴리프로필렌 등) ▲호주(밀·정제과정이 필요한 식품원료 등)에서 전체 수입량의 58.5%인 275만톤을 수입했다. 품목군별로는 ▲가공식품(29.6%) ▲축산물(24.8%) ▲농·임산물(19.7%) ▲수산물(11.9%) ▲기구 또는 용기·포장(7.8%) ▲식품첨가물(3.6%) ▲건강기능식품(2.8%) 순이다.이번 기간 수입이 급증한 제품에서는 ▲온라인에서 인기 많은 식품 ▲물가조절용 식품 ▲경제성‧편의성을 추구 식품 등이라는 특징이 확인됐다.먼저 누리소통망(SNS),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에 다양한 조리 레시피가 공유되면서 요거트·땅콩버터 등 트렌드와 관련된 제품의 수입이 크게 늘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부터 다양한 식재료를 얹은 ‘요거트 아이스크림’이 큰 인기를 얻으며 벌집꿀의 수입이 1500달러에서 38만 5000달러 규모로 2만 5885% 급증했다. 또한 ‘땅콩버터 다이어트’가 관심을 끌면서 땅콩버터 101.7%, 땅콩 등 견과류 38.1%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마시멜로우와 과자‧건과일을 혼합하여 만드는 ‘쫀득쿠키’가 유행하면서 마시멜로우 수입도 44.3% 눈에 띄게 늘었다.동시에 국내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물가조절용 식품의 수입량도 급증했다. 농·임산물 중 식품제조용 원료로 많이 사용하는 밀과 옥수수는 각각 22.7%, 6.7% 수입량이 감소했다. 이에 반해 양파, 양배추, 배추, 감귤 등 신선 농산물의 수입량은13.5% 증가했는데, 식약처는 국내에서 해당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547
어제
2,082
최대
4,214
전체
2,121,149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