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건식의 미디어 이슈]▲주요 OTT 로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1 17:27본문
[유건식의 미디어 이슈]▲주요 OTT 로고.
[유건식의 미디어 이슈]▲주요 OTT 로고. 디자인=안혜나 기자.1925년 영국 런던에서 최초로 TV로 방송한 지 100년이 흘렀다. 그동안 방송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흑백TV에서 컬러TV로 전환, 8K TV의 출시, 1972년 첫 케이블TV HBO의 출범, 1999년 지연 시청과 광고 회피가 가능한 티보(TiVo)의 출시, 2006년 CBS의 남자 농구 온라인 중계, 2007년 넷플릭스의 유료 구독 서비스(SVOD) 시작, 2008년 온라인 VOD 서비스 훌루 출범 등을 거치면서 2025년 현재 TV 시장은 OTT 스트리밍이 대세가 되었다. 한국은 급속한 디지털 발달에 따라 어느 나라보다 일찍부터 인터넷으로 방송 프로그램 등 동영상을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티빙이 있었고, 아프리카TV(현 SOOP)가 있었고, 푹(pooq)이 있었다. 현재 국내의 대표 OTT는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 등이 있다. 문제는 글로벌 OTT, 특히 넷플릭스에 비해 경쟁력이 높지 않다는 데 있다.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시장의 OTT 실적은 넷플릭스가 지배하고 있다. 2024년 8997억 원의 매출과 17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티빙은 매출 4355억 원으로 1879억이나 증가했지만, 여전히 영업 적자는 710억 원으로 많다. 웨이브는 영업 적자를 189억으로 감소시켰지만, 매출이 2330억 원으로 감소해 성장성에 한계를 드러냈다. 올해는 연초부터 넷플릭스가 '오징어 게임',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 등 드라마와 예능주간(토·일·월·수·목) 편성으로 월간 이용자수가 1400만 명을 넘었다. 여기에 요금 인상 효과 등이 더해져 넷플릭스는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역대 최고의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 105.4억 달러(약 15조), 영업이익 33.5억 달러, 순이익 28.9억 달러, 영업이익률 31.7%이다. ▲ 국내 주요 OTT 매출 및 영업이익 현황. 출처=전자공시시스템트리플리프트(TripleLift)의 총괄 매니저 앤드류 킹은 'TV 100년' 보고서에서 "앞으로 5~10년 동안의 핵심 화두는 TV가 결국 유튜브나 피콕(NBC 유니버설 OTT)처럼 변할 것인가?"라고 밝혔다. 그만큼 TV의 미[유건식의 미디어 이슈]▲주요 OTT 로고. 디자인=안혜나 기자.1925년 영국 런던에서 최초로 TV로 방송한 지 100년이 흘렀다. 그동안 방송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흑백TV에서 컬러TV로 전환, 8K TV의 출시, 1972년 첫 케이블TV HBO의 출범, 1999년 지연 시청과 광고 회피가 가능한 티보(TiVo)의 출시, 2006년 CBS의 남자 농구 온라인 중계, 2007년 넷플릭스의 유료 구독 서비스(SVOD) 시작, 2008년 온라인 VOD 서비스 훌루 출범 등을 거치면서 2025년 현재 TV 시장은 OTT 스트리밍이 대세가 되었다. 한국은 급속한 디지털 발달에 따라 어느 나라보다 일찍부터 인터넷으로 방송 프로그램 등 동영상을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티빙이 있었고, 아프리카TV(현 SOOP)가 있었고, 푹(pooq)이 있었다. 현재 국내의 대표 OTT는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 등이 있다. 문제는 글로벌 OTT, 특히 넷플릭스에 비해 경쟁력이 높지 않다는 데 있다.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시장의 OTT 실적은 넷플릭스가 지배하고 있다. 2024년 8997억 원의 매출과 17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티빙은 매출 4355억 원으로 1879억이나 증가했지만, 여전히 영업 적자는 710억 원으로 많다. 웨이브는 영업 적자를 189억으로 감소시켰지만, 매출이 2330억 원으로 감소해 성장성에 한계를 드러냈다. 올해는 연초부터 넷플릭스가 '오징어 게임',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 등 드라마와 예능주간(토·일·월·수·목) 편성으로 월간 이용자수가 1400만 명을 넘었다. 여기에 요금 인상 효과 등이 더해져 넷플릭스는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역대 최고의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 105.4억 달러(약 15조), 영업이익 33.5억 달러, 순이익 28.9억 달러, 영업이익률 31.7%이다. ▲ 국내 주요 OTT 매출 및 영업이익 현황. 출처=전자공시시스템트리플리프트(TripleLift)의 총괄 매니저 앤드류 킹은 'TV 10
[유건식의 미디어 이슈]▲주요 OTT 로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