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서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20일 오전 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04-20 23:04

본문

20일 오전 서 20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2025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with SPYDER'에서 참가자들이 힘차게 출발하고 있다. 롯데물산이 주최하는 스카이런은 롯데월드타워 123층, 555m, 총 2917개의 계단을 오르는 국내 최고 높이의 수직 마라톤 대회다. 2025.4.2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아들 사랑해요 화이팅!" "올해는 기록 경신!"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20일 국내 최대 규모, 최고 높이의 '2025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위드 스파이더' 행사에 직접 참석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월드타워 앞 출발 지점에는 10초마다 참가자들의 함성이 터져 나왔다. 경쟁 부문 참가자들의 레이스 출발이 오전 9시 30분부터였던 만큼 이미 오전 8시부터 행사장에는 스파이더의 '민트색' 티셔츠, 무릎에는 테이핑을 감은 참가자들이 대거 롯데월드타워 주변을 가득 채웠다. 20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2025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with SPYDER'에서 참가자가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4.2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롯데물산이 주최하는 스카이런은 2017년부터 매년 봄마다 열리는 이색 수직 마라톤 대회다. 123층, 총 2917개 계단, 555m 높이를 뛰어서 올라가게 된다. 지난해까지 누적 1만여명이 참가했고, 올해도 경쟁과 비경쟁 부문을 합해 2000명이 참가했다. 벌써 7번째 진행하는 행사답게 여러 번 참여한 참가자들도 상당수였다.장재훈 롯데물산 대표이사는 개회사에서 "대한민국 랜드마크인 롯데월드타워를 대표하는 행사다. 이번 대회는 '사랑으로 함께하는 아름다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진행된다"며 "대한민국 가장 높은 곳 123층으로 향하는 참가자 모두 큰 성취감과 특별한 추억을 만드시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20일 롯데월드타워에서 수직 마라톤 대회 '2025 스카이런 위드 스파이더' 행사가 진행됐다. ⓒ News1 이형진 기자 "한계 느끼려 참가" 장비 착용하고 오르는 소방관들…부모님과 함께한 어린이들경쟁 부문에서는 마치 마라토너처럼 보이는 '싱글렛' 차림, '헤어 밴드', '러닝 조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방위비 의제는 포함 안 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섣불리 협상을 타결하기보다는 짚고 넘어갈 사항이 있어 양국이 상호 호의적으로 풀도록 협의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 방송에 출연해 이주 열릴 전망인 한미 고위급 무역 협상과 관련한 질문에 “저희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를 비롯한 반도체 이런 부분은 최대한 관세 철폐를 위해서 총력전을 펼 계획”이라면서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이 끝난 상황이 아니고, 트럼프 행정부 내내 관세 문제가 이어질 가능성 있다”며 “지금 다 푼다고 상황이 정리되는 게 아니어서 협상 틀을 계속 이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일본과 협상 때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측과 협상에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냐는 물음에 “그런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일본과 상황이 비슷하게 전개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미국이 앞선 일본과의 협상에서 방위비 문제를 꺼내든 가운데 안 장관은 아직 미국 측에서 먼저 방위비 문제를 논의하자는 제안은 하지는 않았지만 향후 제기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현재까지 (미국 측이 방위비 의제 논의를) 제기한 것은 없다”며 “그런 의제를 만약 얘기하게 되면 최대한 미국 측 입장 어떤지 듣고 관계 당국 전달해 소관 부처가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희망하는 상황과 관련해 안 장관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참여 여부를 검토하겠지만 미국 측의 계획이 아직 구체적이지 않아 현지 실사 등을 거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안 장관은 이어 “일본, 대만, 태국, 베트남도 이 사업 관심을 보여 아시아 국가들이 공동 노력해서 (사업이) 가능해진다면 우리도 여러 좋은 기회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황혜진 기자 20일 오전 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342
어제
2,191
최대
4,214
전체
2,118,862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