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태 지사가 17일 고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04-18 10:46본문
▲ 김진태 지사가 17일 고성 저도어장에 입어해 올해 첫 고성산 대문어를 잡아 올리고 있다. “저도어장만 열리기를 석 달을 손꼽아 기다렸는데, 대문어를 올리는 순간, 이제야 살 것 같다는 생각에 눈물마저 핑 도네요. 이게 바로 고성산 피문어래요.” 우리나라의 마지막 황금어장으로 불리는 최북단 동해 고성군 현내면 인근의 저도어장이 긴 어둠을 헤치고 개방한 17일, 이날만을 꼬박 기다렸던 문어잡이 연승어선들은 레이스를 하듯, 부푼 만선의 꿈을 안고 검푸른 바다를 거침없이 내달리며 가장 좋은 몫을 차지하려 황금어장을 향해 질주했다. 저도어장이 열린 이날 새벽 5시, 최북단 현내면 대진·초도항 선적 문어잡이 연승 배를 포함해 고성군 선적 168척은 대진항에서 어로한계선을 향해 출항할 준비로 시동을 거는 한편, 이웃한 국가 어항인 거진항에서는 김진태 지사와 김시성 도의장·김용복 도의회 부의장, 함명준 고성군수, 용광열 고성군의장, 이우수 속초해경서장, 최영희 고성군수협조합장 등 관계자들이 출어하는 어민들을 격려하기 위해 강원 201호(44t)·202호(87t)에 승선한 채 어둠 속의 망망대해를 주시하고 있었다. 속초해양경찰서 경비함정 500t급 1척·P50t급 3척과 해군도 어업인들의 안전을 위해 출발선에 대기했다. 출렁거리는 파도 위에 줄지어 늘어선 어선들은 100m 출발선에 선 듯, 연신 엔진소리와 연기를 뿜어냈고, 이어 오전 5시 30분 어선과 어민의 수를 파악하기 위한 통신 점호가 시작됐다. 오전 6시, 마침내 저도어장 입어를 알리는 출발 신호가 울리자, 대기하던 168척의 어선들은 일제히 새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며 미끄러지듯 검푸른 파도를 가르며 내달리기 시작했고, 좋은 몫에서 문어잡이 연승 낚시를 던지고자 선의의 레이스 경쟁을 펼쳤다. 저도어장은 동해 어로한계선과 북방한계선(NLL) 사이에 위치해 직선거리로 1마일(1852m)에 불과해 어민들의 조업이 허용되는 4월부터 12월 말까지는 단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영역이다. 올해 첫 저도어장의 개장 조업에 처음 참가한 김진태 지사는 “우리나라 최북단 저도어장을 어민들과 함께 입어해 조업을 해보니, 어민들의 고충과 진정한 삶의 모습을 체득할 수 있어 정말 보람이 크다”며 “무엇보다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이듯 어민들 여러분이 올해는 만선으로 행복하시기를 기원하고 전동휠체어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기자와 유승권 공동대표 [촬영 홍성란 활동지원사] (전주=연합뉴스) 나보배 기자 = '2㎝의 턱이 이렇게나 높았단 말이야?'평소 전동휠체어 진행을 막는 방해물이 많을 것이라 예상했는데도 막상 직접 타보니 인도에는 생각보다 신경 써야 할 것들이 훨씬 많았다.오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기자는 지난 17일,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유승권 공동대표와 홍성란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아 직접 전동휠체어를 몰고 거리를 돌아다녔다.체험할 거리는 유 대표가 매일 오가는 전라북도중증장애인자립생활연대 건물에서 그의 집까지 왕복 약 2㎞의 거리.차를 타면 5분도 채 안 걸리고, 걸어서도 30분이면 충분한데 처음이라 그런지 55분이나 소요됐다.장애인들이 일상에서 마주해야 할 '녹록지 않은 이동권'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2㎝ 낮은 턱도…전동휠체어엔 불편 [촬영 홍성란 활동지원사] 55분 내내 기자를 가장 힘들게 한 것은 인도 곳곳의 '턱'이었다.보통 인도와 이면도로가 만나는 지점에는 턱이 있다. 인도 끝부분의 턱을 낮춰 단차를 완만하게 했는데, 그렇다고 해도 턱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두 발로 걸어 다닐 때는 몰랐던 1∼2㎝ 높이의 턱이 휠체어를 탄 뒤에야 눈에 들어왔다. 단차를 낮추느라 만들어진 급경사로도 마찬가지였다."기자님. 속도를 조금 내야 해요. 겁 내면 턱을 넘질 못해요."옆에서 길을 안내하던 유 대표의 말에 기자는 용기를 내 휠체어를 뒤로 뺀 뒤 앞으로 빠르게 움직였다.무사히 턱은 넘었지만, 충격이 온몸으로 전해지면서 엉덩이가 들썩였고 약간의 통증도 전달됐다. 무심코 '앗!' 하는 소리가 나왔다.유 대표는 "자동차와 달리 휠체어 바퀴는 충격 흡수 장치가 전혀 없어 충격이 몸으로 그대로 전해진다"며 "이 정도 턱은 높은 것도 아니다"며 짐짓 웃어 보였다.그러면서 "장애인을 특히 괴롭히는 건 식당이나 편의점 문 앞에 있는 높은 턱"이라며 "길을 가면서 커피 한 잔, 물을 한 잔 사 먹고 싶어도 돈이 없는 게 아니라 가게 앞에 설치된 높은 턱을 넘을 방법이 없어 사 먹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 이전글네오골드 25.04.18
- 다음글��ħ��/������/�ູ�Ѱ� Ȳ�ο�/�ູ�Ѱ�/��ħ��/���ۿ�������������Ʈ/ 25.04.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